이길원 동아대 교수_네루대 특강_BK21Plus사업+한국인의 일생 동아대 이길원 교수, 인도 유명 대학에서 특강 2014-01-28 오후 2:59:29 대외협력과 / 조회 : 1032 동아대 이길원 교수, 인도 유명 대학에서 특강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이길원 교수가 네루대 한국학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네루대학교서 BK21Plus사업 홍보 및 특강 .. *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세계문자 2014.08.22
파란 그림과 음악_안진희 파란 그림과 음악 2014.07.24 빗소리가 살갗을 서늘하게 어루만집니다. 이 비를 아주 오래 기다렸던 것 같습니다. 빗소리에 열리는 마음은 온통 파랑입니다. 특히 빗방울이 떨어지는 소리는 파란 점이 되어 그림을 그리는 듯합니다. 김환기 화백은 파란빛의 점으로 색이 소리를 갖고 있다는 .. *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세계문자 2014.07.28
수화에 대해_김아영 우리나라 청인청각에 장애가 없는 사람을 농인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중 82.2%가 '수화는 언어라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수화에 대한 통념을 들여다보면 수화가 정말 국어와 같은 어엿한 언어로 여겨지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 수화에 대해 널리 퍼진 오해 몇 .. *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세계문자 2014.05.21
우리말 다듬기의 뜻_김삼식 ‘말 다듬기’란 의사소통에 지장을 줄 정도로 이해하기 어렵거나 우리말의 정체성을 흐려서 문제가 되는 표현들을 좀 더 이해하기 쉽고 자연스러운 어휘나 표현으로 다듬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말 다듬기’는 국립국어원의 주요 정책으로서 국립국어원이 1991년에 출범한 이래 꾸준.. *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세계문자 2014.05.21
한글의 세계화_김슬옹 캐슬린 스티븐스Kathleen Stephens 전 미국 대사는 2010년 문화방송MBC 한글날 특집 다큐멘터리 ‘한글 날아오르다’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한국인들은 한글의 아름다움과 창의성을 전 세계인들과 나눠야 합니다. 그것은 한국 문화의 힘에 대해 더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킬 것입니다. 한.. *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세계문자 2014.05.21
사라지는 말들, 되살아나는 말들_장영준 2010년 1월 28일 지구상에서 언어 하나가 사라졌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 중 하나인 보어語의 마지막 주민이 인도 안다만 제도에서 숨을 거둠으로써 7만 년 된 언어가 사라진 것이다. 2012년 10월 4일,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크로마티어를 사용하던 마지막 사용자가 숨을 거둠으로써 또 .. *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세계문자 2014.05.21
세계어로서의 스페인어_신자영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올라hola’, ‘아디오스Adiós’, ‘돈키호테Don Quijote’, ‘플라멩코flamenco’, ‘레알 마드리드Real Madrid’, ‘타코taco’, ‘탱고tango’ 등 스페인 및 스페인어권 라틴아메리카 국가의 문화와 언어에 이미 많이 친숙해져 있다. 또한, 《백 년간의 고독》으로 우리.. *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세계문자 2014.05.21
세계어로서의 영어_최은경 지난 호 보기 1. 고정된 어순 현대 영어의 어순은 비교적 잘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독일어처럼 엄격한 문법적 통제를 받거나, 라틴어처럼 변화무쌍하지도 않다. 영어의 어순은 부드럽고 유연하지만 지나치게 고지식하거나 자유분방하지 않아 문화와 관계없이 기본 뼈대는 유지하면서도 .. *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세계문자 2014.05.21
영어의 자란 과정_최은경 지구상에는 7천여 개의 언어들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각 언어를 사용하는 7천여 이상의 민족이 살아가고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이 민족들의 의사소통의 편리를 위해 일각에서는 공용어를 지정해야 하고, ‘영어’가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언어라고 말하기도 한다. 사실 이렇게 세계.. *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세계문자 2014.05.21
우리 안의 언어 제국주의_권정관 Powered by WP Bannerize 질량 보존의 법칙에 따르면, 화학 반응의 전후에서 전체 물질의 질량에는 증감이 없다. 물질의 존재 방식만 달라졌을 뿐이라는 얘기다. 그렇다면 언어도 ‘물질’인 한 ‘쇠멸’된 뒤 어떤 형태로든 보존되고 있지 않을까? 말의 ‘시원이자 결말’인 침묵 또한 무가 아.. *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세계문자 2014.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