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키움,가배[가르치고 배우고]) 150

[2021.10.16 ] 국공립대 교수 1/3이 서울대 출신

국공립대 교수 1/3이 서울대 출신 기자명 강석 기자 입력 2021.10.16 09:05 수정 2021.10.16 09:10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국회 교육위 소속인 강득구 의원 (더불어민주당)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36개 국공립대학교 전임교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학사/ 석사/ 박사 중 1개 이상 서울대학교 학위를 받은 전임교원이 33% 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대인 서울대학교가 83.1%( (2141명 중 1780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으며, △청주교육대학교 58%..

[2021.04.04 대학지성] 교수 임용, 'SKY 학부 출신 미국 박사' 대세…새로운 인재상과 채용 방식 절실

교수 임용, 'SKY 학부 출신 미국 박사' 대세…새로운 인재상과 채용 방식 절실 김한나 기자 승인 2021.04.04 18:00 댓글 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URL복사 기사공유하기 스크랩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포럼 특집] (재)교육의봄, 채용 포럼 시즌 2_ 4차 포럼 〈대학 교원 채용의 현황을 살핀다〉 -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 재정 악화’로 신임 교수 채용↓, 비정년 계열 교수 충원↑ - ‘여성 교원’ 늘어나고 ‘모교 출신 임용’ 다소 줄어… 교수임용쿼터제 조금 더 강화 필요 - 교수 임용에서 ‘출신 학부’ 중시는 매우 이례적인 현상 - 대학 교원 임용 평균 연령이 43.6세 - 교원의 블라인드 채용에 대해서는 부정적 시각이 많아 - 기능적으로 우수한 교원 이상의 ‘공공가치를 ..

[2022-02-24 서울경제] '순혈주의' 서울대 이공계 교수 75%가 모교 출신

'순혈주의' 서울대 이공계 교수 75%가 모교 출신 입력2022-02-24 17:47:56 수정 2022.02.24 17:47:56 성행경 기자 facebook 공유 twitter kakao email 복사 뉴스듣기 가 기사저장 저장된기사목록 기사프린트 여성교수 5~10%·외국인 13명 "임용 다양화해야 경쟁력" 지적 타교 출신 늘지만 여전히 미흡 해외 인재 확보 예산 확충 절실 서울대 이공계열 교수 4명 중 3명은 모교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교 출신을 선호하는 순혈주의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면서 타교 출신 교수 비중이 점진적으로 늘고 있지만 학문의 다양성 확보를 위해 임용 문화를 보다 과감하게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다. 연구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예산 확충과 급여 체계 개편 등 시스템을 획기적으..

[ 2005.01.17 미디어 오늘] 서울대 교수 50.5%가 '미국 박사'

서울대 교수 50.5%가 '미국 박사' 기자명 이수강 기자 입력 2005.01.17 12:05 수정 2005.01.17 19:04 댓글 0 ADFREE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시사저널-스누나우 공동취재] '해외파 박사' 중 81.1% 차지 최근 미국 대학 박사학위를 가장 많이 배출한 해외 대학이 서울대라는 보도가 나온데 이어, 이번에는 서울대 현직 교수의 미국 대학 박사학위 보유율이 과반수인 50.5%(1711명 중 864명)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해방 60년을 맞는 한국의 대학과 학문의 자생력이 아직 매..

[2005-01-17] 서울대 교수 52.8%는 미국박사 출신

서울대 교수 52.8%는 미국박사 출신 등록 :2005-01-17 18:52수정 :2005-01-17 18:5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링크 스크랩 프린트 글씨 키우기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가장 많이 배출한 해외대학이 서울대라는 조사결과가 최근 알려진 가운데, 서울대 교수(박사학위자) 가운데 52.8%가 미국 박사출신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이런 비율은 특성상 국내 학위자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의·치대 교수진을 포함한 것으로, 사회과학대 교수들의 경우는 82%가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결과는 서울대 인터넷 뉴스 와 공동조사 결과 밝혀졌다. 등에 따르면, 서울대 교수 1711명(박사학위 비포함)의 박사학위 취득 국가를 분석한 결과, 행정·경영 등 사회과학대 교수 82%를 비롯해 자연과학..

남→여 전환한 트렌스젠더, 숙명여대 합격... “날 보며 힘 얻었으면”

남→여 전환한 트렌스젠더, 숙명여대 합격... “날 보며 힘 얻었으면” 기자명 이지현 기자 승인 2020.01.30 15:43 수정시간 2020.01.30 15:43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기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 지난해 8월 태국에서 성전환(남→여) 수술을 받은 A(22)씨가 2020학년도 숙명여대 신입학전형에 최종 합격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코리아=이지현 기자 |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 수술을 한 트렌스젠더 여성이 숙명여자대학교에 합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렌스젠더 여성이 여대에 합격한 사실이 ..

유치원에도 CCTV를 의무로 설치하자는 법안: 국공립유치원 CCTV 설치율 4.98%…

국공립유치원 CCTV 설치율 4.98%…찬반 목소리 하정연 기자 이메일 보내기 작성 2022.08.22 20:49 수정 2022.08.22 22:26 조회 1,202 프린트기사본문프린트하기 글자 크기 크게보기 글자크기 작게보기 혹시 모를 아동학대를 막기 위해서 어린이집에는 반드시 CCTV를 달아야 합니다. 유치원에 CCTV를 설치하도록 하는 법안은 지금 국회에 올라가 있는데, 인권과 사생활 침해 우려 때문에, 찬성과 반대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이 내용, 하정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아이를 향해 매트를 집어던지고, 분무기를 거칠게 낚아채 얼굴에 물을 뿌리고. 재작년 어린이집 교사가 장애 아동을 포함해 원생 10명을 상습 학대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인천 어린이집 학대 사건 CCTV 영상입니다. ..

대구대학교 영어교육과의 부실 수업_학생들이 쓴 대자보

'수업 손놓은 교수들?' 사범대학 학생들이 분노한 이유는 주현지 입력 2021. 12. 02. 08:00 댓글 29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대학생들은 매 학기 수백만 원의 등록금을 내고 학교에 다닙니다. 비싼 수업료에는 수준 높은 강의라는 전제가 깔려있죠. 하지만 어떤 대학생들은 등록금도 내고, 사교육비 수백만 원을 더 쓰기도 합니다. 수업의 질이 부실해서 그렇습니다. 이는 대구대학교 학생들 얘기입니다. ■대학 다니는데…임용시험 위해 사교육 수백만 원 11월 초,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건물 내에 대자보가 붙었습니다. 교수들의 무능과 무책임은 지난 10여 년간 계속됐습니다. (…) 교육자를 양성하는 학과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

비정년트랙 교수라는 말의 부당성과 교원 신분 불안정하게 만드는 ‘블랙대학’_홍성학 전국교수노조 비정년트랙전임교원 차별철폐특별위원장, 곤노 하루키는 『블랙기업』,

교원 신분 불안정하게 만드는 ‘블랙대학’ 홍성학 승인 2021.11.16 09:12 최근 5년간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현황’을 보고 ① 홍성학 전국교수노조 비정년트랙전임교원 차별철폐특별위원장 재임용기대권 있는 전임교원...심의절차 없이 당연 퇴직은 위법 2018년 헌법재판소도 비정년트랙 확대로 '신분 불안' 확산 지적 곤노 하루키는 『블랙기업』이라는 저서에서 블랙기업을 ‘법에 어긋나는 비합리적인 노동을 젊은 직원한테 의도적·자의적으로 강요하는 기업, 곧 노동착취가 일상적이고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업’이라고 규정했다. 즉, 블랙기업을 오직 회사의 이익만을 위해 비합리적인 노동을 강요해 노동착취를 조직적으로 행하는 기업이라고 지칭한 것이다. 기업 중에 블랙기업이 있다면 대학에는 ‘블랙대학’이 있다. 블랙대..

전임교원 중 비정년트랙, 일반대 21.5%, 전문대 18.4%

전임교원 중 비정년트랙, 일반대 21.5%, 전문대 18.4% 윤정민 승인 2021.11.16 09:12 2016~2020년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현황 ① 비정년트랙 얼마나 뽑았나 [연결 기사 - 최근 5년간 신임교수 절반은 비정년트랙] 최근 5년간 사립대 전임교원 5명 중 1명은 비정년트랙이었다. 전체 교수 중 비정년트랙 비율이 사립 일반대는 21.5%, 사립 전문대는 18.4%였다. 더불어민주당 윤영덕 의원실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6~2020년 비정년트랙 전임교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윤 의원실은 전국 사립 일반대(이하 ‘일반대’) 157곳 중 88곳, 사립 전문대(이하 ‘전문대’) 127곳 중 94곳이 자료를 제출했다고 전했다. 수도권 주요 사립대 중 대부분은 자료를 제출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