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세계문자

중국에서 한국어 교육_백해파

사이박사 2014. 5. 16. 15:31

중국과 한국이 수교를 맺기 전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은 중국 내 5개 대학교에 개설되어 있었지만 수교 후 그 수가 대폭 증가하여 지금은 200여 곳에 달한다. 이 글에서는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김병운 전 회장이 엮은 《중국 대학 한국어 교육 실태 조사 보고서》2012에 근거하여 중국 내 한국어 교육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한국어학과의 확대
 

중국에서 한국어 교육은 1946년 현 북경대학교 한국어학과의 전신이었던 국립동방언어전문학교의 한국어 강좌에서 시작되었다. 그 후 1950년대 초에 대외경제무역대학교1952와 낙양외국어대학교1956에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었고, 1970년대에는 연변대학교1972와 북경 제2외국어대학교1973에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어 5개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쳤다.

 

그후 한국과 중국의 수교가 이루어지면서 한국어 교육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여 수교 후 5년 사이에 무려 18개 대학교에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었다. 지역별로 보면 산동 지역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연도별 각 지역의 한국어학과 개설 흐름을 나타낸 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어학과 개설은 1991~1995년과 2001~2005년 두 시기에 절정을 이루었다. 한중 수교 후인 1991~1995년 사이에 경제 교류가 활성화하면서 천진, 산동, 요령, 길림, 흑룡강 등 지리적•문화적으로 한국과 가까운 지역에서 그 증가 폭이 컸다. 1996년 말부터는 한국이 금융 위기를 겪는 바람에 양국의 교류도 주춤하였다가 2001~2005년 사이에 다시 활성화되었다. 그에 따라 상해, 강소, 절강 등 장강 삼각주 지역과 광주, 심천, 동완 등 주강 삼각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어학과 개설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한국어학과 현황
 

2009년까지 중국 내 대학교에 설치된 170여 개의 한국어학과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중국 대학 지역별 한국어학과 통계를 나타낸 표
 

지역별로 보면 산동 지역이 50개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강소28, 길림18, 흑룡강18, 상해 및 절강13, 화남11, 북경9, 화북9, 서남3의 순이었다. 대개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거나 한국 기업들이 들어선 곳에 한국어학과도 많이 개설되었는데 이는 사회적인 수요에 의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다음, 한국어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수에 대한 통계도 보여 주고 있는데 중국의 대학교 체제에 따라 박사과정, 석사과정, 학부생, 전문대 학생의 숫자를 보이면 아래의 그림과 같다.

 
중국 대학 지역별 한국어학과 재학생 수 통계를 나타낸 표
 

보고서에 따르면 재학생 수는 박사과정 30명, 석사 과정 39명, 학부생 13,237명, 3년제 혹은 2년제 국립 전문대 학생 13,008명, 4년제 사립 대학교 학부생 7,733명, 사립 전문대 학생 8,635명으로 전체 43,036명으로 집계되었다.

 

사회적인 수요나 졸업생의 취직이 보장된다는 전제하에 교육 역량을 갖춘 기관에서 한국어학과 또는 교육 과정을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교육 열기가 지나쳐 조건을 갖추지 못한 교육 기관에서 단순히 눈앞의 이익과 일시적인 사회적 수요를 위하여 한국어학과를 증설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이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에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한국어학과 졸업생의 취업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보고서는 보고 있다. 교육은 백년대계라 하였다. 미래 세대를 위해 멀리 내다보고 체계적인 교육 여건을 마련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1) 조사에 응하지 않거나 대학 이외의 기관까지 합하면 한국어 교육 기관은
 200여 개에 달한다고 한다.
2) 수치가 잘 보이게 하기 위하여 최댓값을 4,500으로 하였기 때문에 산동 지역 전문대생의 수는
 4,500명으로 보인다.

윗첨자삽입된 표는 보고서의 통계 자료를 따라 필자가 직접 그림


 
 

참고 문헌
김병운2012,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창립 10주년 특집 《중국 대학 한국어 교육 실태 조사》,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회
 
글_백해파
중국 연변대학교에서 한중 언어 대조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현재 중국에 머물면서 학위 논문을 집필 중이다.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에서 한중 병렬 말뭉치 구축, 중국어 의미 주석 말뭉치 구축, 다면 자료 구축 등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