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1년 통일 후, 이탈리아 정부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의무 교육과 문맹 퇴치 교육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2013년 10월 8일 일간지 레푸블리카Repubblica, http://www.repubblica.it 의 조사에 따르면 이탈리아 정부의 오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탈리아 국민의 28%가 모국어를 읽고 쓰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쉼표, 마침표 http://www.urimal365.kr/?p=9796
이탈리아 교육 과정의 역사
1877년 제정된 코피노 법Legge Coppino에서는 최초로 초등학교를 5년 과정으로 지정하고 모든 이탈리아 어린이는 5년 과정 중 최소 3년의 의무 교육 과정을 이수하도록 했다.
1904년에는 의무 교육 연령을 만 12세까지로 지정하였다. 당시 조반니 파피니Giovanni Papini와 주세페 프레촐리니Giuseppe Prezzolini는 문학 전문 잡지인 라보체La Voce에 “공립 학교의 교육 과정은 이탈리아 문화의 보전과 발달에 크게 기여한다.”라고 발표하고 중학교의 교육 과정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1923년에 개정된 젠틸레Gentile 법은 의무 교육 연령을 14세까지로 지정하였는데 이는 현대 이탈리아 교육 과정의 바탕이 되었고, 이에 따라 이탈리아의 교육 과정은 초등학교 5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5년으로 자리를 잡았다. 그중 고등학교는 문과, 이과, 공업과, 교육과, 예술음악과로 나뉜다.
제1차,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8년 이탈리아 헌법 제34조에는 “이탈리아의 모든 어린이는 만 8세까지 학교 교육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라는 규정이 삽입된다. 그리고 1969년 이전까지는 고등학교 문과 졸업자만 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지만, 모든 고등학교 졸업자에게 대학교 입학 자격을 주도록 개정하였다.
마지막으로 2007년에는 이탈리아 의무 교육 연령이 16세로 확대되었다.
현재의 교육 과정
앞서 언급한 대로 오늘날 이탈리아의 교육 과정은 초등학교 5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5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초등학교 입학 전에는 유치원 과정이,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고등 교육 과정으로는 대학교, 대학원 과정이 마련되어 있다.
이탈리아어 교육과 그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책
이탈리아 교육 과정 중 이탈리아어의 교육 과정은 문법과 작문, 문화와 역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이탈리아어 교육에서 최근 두드러지고 있는 큰 문제는 시간이 갈수록 그 수가 증가하는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이다. 현재 초, 중,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는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이탈리아어 교육 과정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외국인 가정의 학생들은 학업 성취나 직업 선택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대한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외국인 가정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으로는 먼저 시청 등에서 부모와 교사가 소통하며 학생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학부모를 대상으로 이탈리아어 수업을 무료로 제공한다. 또한 국립 유아원과 초등학교에서는 외국 어린이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학습 진도를 따라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아랍어, 중국어 등을 구사할 수 있는 보조 교사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탈리아어 교육 과정은 정규 교육 과정 중 중학교 과정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 시기에는 주로 문법, 그중에서도 특히 동사 변형에 대한 지식을 중점적으로 습득하게 된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는 중학교 때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로 문장을 쓰는 법을 배운다. 이러한 교육의 결과는 대학 입시 때 나타난다. 이탈리아 교육부에서는 청소년의 바른 이탈리아어 교육을 위하여 각 지역 국립 대학교 문과 지망생들을 대상으로 입시에서 이탈리아어 문법 시험을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올해부터는 많은 대학교에서 문과 계열뿐만 아니라 이공계 계열에서도 시험 과목으로 이탈리아어 작문을 채택하고 있다. 각종 매체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이탈리아 대학교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국민들이 바른 모국어를 사용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들의 바람대로 바른 언어 교육이 정착되기를 기대한다.
'*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 세계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_어린이의 환경을 우선 고려하는 언어교육 프로그램_홍혜정 (0) | 2014.05.16 |
---|---|
중국의 공자학원의 현황과 미래_백해파 (0) | 2014.05.16 |
독일 인쇄술의 발전_홍혜정 (0) | 2014.05.16 |
중국에서 한국어 교육_백해파 (0) | 2014.05.16 |
독일어권 국가들의 공용어 지정 현황_조원형 (0) | 2014.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