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4-2_나눠밝힘(분석하기)의 보기 본보기글_판옵티콘 분석.hwp
<나눠 밝히기(분석하기)의 보기>
구연상(숙명여대 교수/철학박사)
분석 보기글(교재 47 쪽): 홍성욱, 『파놉티콘-정보사회 정보감옥』, 책세상, 2002. 22-24쪽)
| 사진 출처: Figure 15: Interior of a rotunda at Stateville Penitentiary, Joliet, Illinois. Photo from Illinois Department of Corrections. PHILIP STEADMAN(Bartlett School, Faculty of the Built Environment), University College London, The Contradictions of Jeremy Bentham’s Panopticon1, Penitentiary1, Bentham Studies, vol. 9 (2007), p. 18. |
가) 가름: 글의 알속을 따로 갈라 묶을 수 있는 갈래로 나누는 일[=갈래짓기]
① 벤담의 판옵티콘(Panopticon) 구조
② 교도관(warder)과 죄수(prisoner)
③ 시선의 비대칭성
④ 감시의 환영
⑤ 규율 권력의 내면화
⑥ 자동기계
나) 나눔: 갈래 가운데 서로 깊은 관련이 있는 것들을 마디로 잇는 일[=마디짓기]
① 판옵티콘은 감시자가 모든 죄수들을 지켜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건축물(모두보기 건물)이다. 이 건물은 한 가운데 죄수를 감시하는 탑이 있고 그 둘레에는 죄수의 방들이 둥글게 층층으로 지어져 있다.
② 이 모두보기의 특징은 봄의 비대칭성에 있다. 지키미가 자리한 감시탑은 그 안에 들여다 보이지 않는 반면 죄수의 방은 그 안을 언제나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하고 밝은 불이 켜져 있다.
③ 그로써 모든 죄수는 자신들의 모든 행동이 감시되고 있다는 환영을 갖게 되고, 마침내 ‘코끼리 울타리’처럼 감시에 길들여져 그것을 내면화한다. 죄수들은 감시자가 실제로 있는지 없는지를 알지 못함에도 ‘자동적으로’ 자신이 감시를 당한다는 ‘사실’을 전제로 행동한다. 이로써 그들은 자동기계가 된다.
다) 따짐: 나뉘어 말해진 바의 올그름을 물음
① 판옵티콘은 실제로 건축될 수 있는가? 그 사례는 어디에 있는가? 그것의 여러 형태는 어떠한가? 판옵티콘은 오늘날 어떤 모습이고, 앞날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가?
② 판옵티콘 교도소는 실제로 봄의 비대칭성이 구현되는가? 지키미가 살펴볼 수 있는 시야는 제한되어 있을 뿐 아니라 죄수의 방과 그 안에 거주하는 죄수의 수가 늘어날수록 관찰이 힘들어진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저 비대칭성은 한계를 갖지 않는가?
③ 죄수는 실제로 ‘감시의 환영’에 길들어져 규율을 내면화하는가? 사람은 그의 잘못된 행동이 실제로 제재나 처벌을 받지 않는 한 그 행동을 바꾸려 하지 않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때론 처벌도 감수하고 특정 행동을 저지르지 않는가? 즉 어떠한 감시 틀도 사람들의 저항과 반항의 본성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지 않은가?
라) 밝힘: 나뉜 물음들에 대한 올바른 대답을 마련함
밝히미[밝히는 사람]은 ①②③에서 물어진 물음에 대한 저 나름의 대답을 마련한 뒤 그 대답이 왜 올바른지를 근거를 갖춰 밝힌다.
<분석문 쓰기의 보기>
(긍정 분석문)
벤담의 판옵티콘 건축물은 “시선의 비대칭성” 효과를 통해 감시 대상으로 하여금 자동적으로 통제 사실을 내면화하게 만든다. 이러한 감시의 자동화는 ‘자신에 대한 감시가 언제나 일어나고 있다.’라는 ‘환상적’ 믿음이 생겨날 때 발생한다. 감시의 규율은 그것이 그 자체로 감시 대상자에게 권위를 갖고 있거나 아니면 위반했을 때 처벌을 받게 되는 것과 같은 강제력이 있을 때 지켜질 수 있다. 판옵티콘 구조물은 ‘다른 물리적 강제력’ 없이 ‘정신적으로’ 개인에게 감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부정 분석문)
벤담의 판옵티콘 건축물은 “시선의 비대칭성” 효과를 통해 감시 대상이 통제 사실을 저절로 내면화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만일 감시 당하미가 스스로 ‘감시의 환영’에 사로잡힌다면, 그는 분명 간수의 요구에 자발적으로 응할 것이다. 하지만 판옵티콘[모두보기]이 그 자체로 존경심이나 처벌에 대한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게 아닌 한 그것은 감시의 권위를 갖지 못할 것이다. 엄격한 처벌 권력이 뒷받침되지 않은 조건에서 감시 구조의 개선만으로 죄인에게 감시 규율의 내면화가 일어날 것이라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 우바[우리말답게 바로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연상_이상의 권태 (0) | 2019.10.16 |
---|---|
분석문 쓰기를 위한 읽기와 쓰기-초상화는 왜 왼쪽 얼굴이 많은가(전용훈) (0) | 2019.09.24 |
분석이란 무엇인가-갈라 나눠 따져 밝히기 (0) | 2019.09.24 |
토인비의 역사 개념 (0) | 2019.09.17 |
새무얼 스마일즈의『자조론(自助論)(Self-Help, 1859 초판, 1881 개정판)』 (0) | 2019.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