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의 의미를 공유하지 못하는 사회 |
박 원 재(강원대 삼척캠퍼스 강사) |
중국의 고전 『관자』「주합」편에 나오는 말이다. 『관자』는 관포지교(管鮑之交)의 고사로 유명한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의 정치가 관중(管仲)의 이름을 가탁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내용은 그보다 아래 시대인 전국시대까지 여러 사람의 손에 의해 집필된 책이다. 이 책이 탄생한 전국시대는 ‘싸우는 나라들[戰國]’이라는 시대명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천자(天子)가 있는 주나라 왕실의 권위는 갈수록 쇠퇴하고, 대신 그 아래의 여러 제후국들이 천하의 새로운 주인이 되기 위해 각축을 벌이던 때이다. 이에 따라 주나라의 문물제도는 하루가 다르게 힘을 잃어가 통치규범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 한 마디로 구체제는 무너져가는데 이를 대체할 새로운 체제는 아직 가시화하지 않은, 그야말로 격변의 시대였던 것이다. 세대와 진영 논리에 갇힌 말 가치관의 붕괴에 따른 아노미 현상이 이처럼 일상화되자 공동체의 존립근거인 사회적 합의 체계가 삐꺽거렸다. 그 가운데 가장 심각한 것 하나가 바로 ‘말[言]’의 혼란이었다. 말의 혼란은 주로 이름과 그것이 가리키는 내용의 불일치로 나타났다. 같은 단어인데 쓰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의미는 제각각인 상황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를테면, 시대가 바뀌고 그에 따라 사람들의 생각도 바뀌어 가는데, 그것을 담아내는 말은 아직 새로운 옷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었던 셈이다. 앞의 인용문은 바로 당시의 그러한 상황을 지적한 것이다. 격변의 시대가 야기한 언어의 혼란, 그것을 ‘이름과 그것이 가리키는 내용’, 즉 ‘명(名)’과 ‘실(實)’이 서로 원망한 지 오래되었다고 표현한 것이다. 시대의 혼돈은 말의 혼란으로 나타나 말의 혼란은 단순히 세대 간 의사소통의 불통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공동체가 원활하게 운영되는 데 심각한 장애를 초래한다. 정치를 맡을 기회가 주어지면 어떤 일부터 하시겠느냐는 제자의 질문에 ‘이름부터 바로잡는 일’[正名]을 하겠다고 한 공자(孔子)의 대답 속에 이 문제에 대한 성찰이 들어있다. 무슨 그런 현실감 없는 말씀을 하시냐는 제자의 반문에 공자는 이것의 엄중함을 이렇게 말한다.
국가는 기본적으로 공권력의 체제이다. 국가가 추진하는 모든 정책은 궁극적으로 공권력에 의해 강제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실효성을 지닌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우리가 어떤 국가 속에 산다는 것은 곧 그 국가의 법체계 속에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사실이 이를 잘 말해준다. 따라서 국가가 정당성을 지니려면 무엇보다도 공권력을 합당하게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공자의 발언에서 ‘형벌이 합당하게 작동해야 한다’는 말이 가리키는 바다. |
▶ 글쓴이의 다른 글 보기 |
|
'* 철학(슬기맑힘,뜻매김),말글책 > 칼럼(네모속글·기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광수의 '사라'가 남긴 것 (0) | 2017.09.19 |
---|---|
왓슨(James D. Watson, 1928~)의 인종차별 발언과 혐오 문제 (0) | 2017.09.19 |
한일축구 응원 걸개그림_이순신+안중근(워털루 역, 개선문)의 문제점_이승훈 (0) | 2016.01.06 |
방재욱_입학사정관전형의 허와 실 I : 자소서와 추천서 (0) | 2015.12.07 |
정윤수의 길 위에서 듣는 음악]조성진은 무대 뒤에서 무슨 책을 읽을까 (0) | 2015.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