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 영 균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수 skytop@chollian.net |
![]() |
교육현장에서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라는 용어는 아직은 받아들이기에 낯선 단어다. 일반적으로 교사들은 교육에 엔터테인먼트를 접목한다는 것, 즉 놀이를 통하여 학습을 한다는 사실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교육학자와 심리학자들의 연구 결과로 학습에 있어서 ‘놀이’가 매우 중요하고 유용한 도구로 강조되면서 학부모와 교사, 그리고 학생들의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학교가기를 싫어하는 아이들의 이유 중 대부분이 학업이 힘들거나 어려워서가 아니라 수업내용이 지루하기 때문이라고 인식되면서 교수 방법의 차원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동기유발과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
에듀테인먼트의 개념 |
에듀테인먼트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로버트 헤이맨(Robert Heyman)이라고 한다. 1973년에 그가 국립지리학회의 제작자로 일하는 동안 자신의 영화들을 에듀테인먼트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 이 용어 탄생의 계기가 되었다. 그가 제작한 영화들은 시청자들에게 긴장감(suspense), 속도감, 설화 등의 오락적 요소와 함께 자연세계와 인류의 문화에 관하여 알려주는 교육적 효과를 담고 있다. 그래서 그는 교육(education)을 의미하는 ‘edu-’와 놀이 또는 오락(entertainment)을 의미하는 ‘-tainment’를 한 단어인 에듀테인먼트로 합쳤다고 한다. 요즈음에는 에듀테인먼트는 오락적인 요소가 담긴 교육자료나 매체를 의미하거나 반대로 교육적인 요소가 담긴 오락물을 지칭하는 말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에듀테인먼트의 상호작용성 |
현대판 로빈슨 크루소라 불리는 헐리우드 영화 ‘캐스트 어웨이(Cast Away)’를 보면 주인공 톰 행크스가 ‘윌’이라는 배구공 친구를 만들어서 의사소통 부재의 고통을 극복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만큼 사람에게 있어서 상호작용(Interaction)이 중요함을 깨닫게 해 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은 공학적으로 지원된 교수적 환경의 중요한 특성으로, 전통적인 교육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화와 같이 매체와 학습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
에듀테인먼트의 효과 | ||
|
![]() |
수업에서의 에듀테인먼트 활용 | ||
|
![]() |
특수교육에서의 에듀테인먼트 | ||
|
참고문헌 |
-강경원(2003).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유아용 에듀테인먼트 컨텐츠 개발.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인적자원부, 한국학술정보원(2003). 2003 교육정보화 백서. 한국학술정보원. -김보경·정재엽(2005). 해외 교육용 게임 연구 동향. 하계 한국게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215-219. -김인중(2003). 놀면서 공부하고 공부하면서 놀자!. 에듀넷 2003, 겨울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김용욱·김남진·오세웅(2003). 장애인 정보화를 위한 동기화 방략. 한국교육학연구, 제9권, 제2호, pp. 117-141. -김종무·강경숙·강대식(2001). 특수교육 정보화 체제 구축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박선희(1995). 유아교육에서 컴퓨터의 역할 정립. 교육학연구, 제33권 제5호, 313-332. -백영균(2005). 에듀테인먼트의 이해와 활용. 서울:도서출판 정일. -이대균·유구종(1999). CD-ROM 타이틀과 인터넷사이트를 활용한 유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열린유아교육학회지. -이영석(1996). 멀티미디어와 아동 발달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3권, 125-149 -전경석(2001). 유아기 인성교육을 위한 에듀테인먼트기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신선(2000). 컴퓨터 소프트웨어 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Maja Pivec et al. Aspects of Game-Based Learning. Retrieved on July 15, 2005, from http://www. unigame.net/html/I-Know_GBL-2704.pdf -Bouras, Igglesis, Kapoulas, & Misedakis. Game-Based Learning Using Web Technologies. Retrieved on July 15, 2005, from http://www.unigame. net/html/ unigame_journal.pdf |
'* 문화(누림,누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문화콘텐츠 기획서 연습 (0) | 2006.11.23 |
---|---|
[스크랩] 문화콘텐츠 기획에 있어서 인문학자의 역할 (0) | 2006.11.23 |
[스크랩] 초등생 “몇 명 죽였는지 기억안나”…어린이 유혈게임 무방비 노출 (0) | 2006.11.07 |
[스크랩] [커버스토리]취향따라 ‘찜질 방법’도 갖가지 (0) | 2006.10.25 |
[스크랩] [커버스토리]피부병·피로회복 효험…나들이 장소로도 인기 (0) | 2006.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