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희귀 현상 ‘빛 메아리’
서울신문 입력 2013.03.19 18:36[서울신문 나우뉴스]'빛 메아리'(light echo)로 불리는 우주의 희귀 현상이 공개돼 눈길을 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오늘의 천문 사진'(APOD)으로 소개한 이 사진은 지난 2002년 허블 우주망원경이 지구로부터 약 2만광년 떨어진 외뿔소자리에 있는 'V838 Mon'이란 항성을 1년간 관측한 것이다.
이 항성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외부층이 갑자기 팽창해 폭발했다. 이 때문에 잠시 우리 은하 전체에서 가장 밝은 별이 됐다가 사라지고 말았다.
천문학자들에 따르면 이전에 이와 같은 별빛의 섬광은 관측된 적이 없다.
어두웠던 항성이 폭발할 때 엄청난 빛을 내뿜는 현상인 초신성은 물질을 우주 밖으로 방출한다.
즉 사진 속 섬광 역시 초신성 폭발의 한 유형이긴 하지만 관측된 이미지는 이미 외부로 방출된 복잡한 고리 형태의 성간 먼지에 의해 반사된 것이다.
한편 이 빛의 메아리는 지름이 약 6광년이다.
사진=NASA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17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오늘의 천문 사진'(APOD)으로 소개한 이 사진은 지난 2002년 허블 우주망원경이 지구로부터 약 2만광년 떨어진 외뿔소자리에 있는 'V838 Mon'이란 항성을 1년간 관측한 것이다.
↑ 빛 메아리 현상
천문학자들에 따르면 이전에 이와 같은 별빛의 섬광은 관측된 적이 없다.
어두웠던 항성이 폭발할 때 엄청난 빛을 내뿜는 현상인 초신성은 물질을 우주 밖으로 방출한다.
즉 사진 속 섬광 역시 초신성 폭발의 한 유형이긴 하지만 관측된 이미지는 이미 외부로 방출된 복잡한 고리 형태의 성간 먼지에 의해 반사된 것이다.
한편 이 빛의 메아리는 지름이 약 6광년이다.
사진=NASA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미래(앞나래) > 외계인(땅끝너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FO 영상 모음 유튜브 (0) | 2016.08.01 |
---|---|
생명체 행성은 죽어가는 별에서 주로 발견된다 (0) | 2013.04.24 |
빅뱅(대폭발) 이후 약 38만년이 지난 시점의 우주배경복사지도_유럽우주국 공개 자료 (0) | 2013.04.24 |
소행성과 지구의 충돌을 막기 위한 우주선 계발_주머니 달린 우주선 (0) | 2013.04.24 |
지구와 비슷한 행성 발견_케플러-62 개념도 (0) | 2013.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