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앞나래)/에이아이(AI) 15

[SR인공지능] "AI의 기대와 현실,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전문가 한 자리에

[SR인공지능] "AI의 기대와 현실,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전문가 한 자리에 - SR타임스 (srtimes.kr) [SR인공지능] "AI의 기대와 현실,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전문가 한 자리에 정우성 기자 승인 2021.05.13 16:52:08 댓글 0 글씨키우기 메일보내기 인쇄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카카오스토리 -네이버·KT·한컴·SK AI 전문가 모여 발전 방향 모색 [SRT(에스알 타임스) 정우성 기자] 국내 산·학·연의 대표 인공지능(AI) 전문가들이 모여 바람직한 정책과 연구 방향, 산업화 전략 등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렸다. 연구 네트워크 'AI미래포럼'은 13일 'AI의 기대와 현실,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를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했다. ◆"인간 중심 AI 추구해야" 김윤 SK텔레콤 ..

"AI는 인간 위해 존재"…정부 'AI 윤리기준' 확정

"AI는 인간 위해 존재"…정부 'AI 윤리기준' 확정 머니투데이 조성훈 기자 sns공유 더보기 2020.12.23 11:00 글자크기 의견 남기기 4차산업혁명위, 정부 AI윤리기준 심의의결…기술오남용, 데이터 편향성 해소위해 활용키로 인공지능(AI)이 우리 일상은 물론 산업현장과 의료, 공공, 군사 등 각 분야에 속속 확산되는 가운데 AI 의 윤리적 기준을 만들어야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효율성과 편의성을 우선시하는 쪽으로 AI가 잘못 사용될 경우 인권은 물론 공공의 안녕까지 침해받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와관련 정부가 처음으로 인공지능 윤리기준을 마련해 확산한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마련한 사람이 중심이 되는 '인공지능(AI) 윤리기준'을 심..

프로야구 오심 논란 이대로 안된다...‘인공지능(AI) 심판’ 도입하라

프로야구 오심 논란 이대로 안된다...‘인공지능(AI) 심판’ 도입하라 권의종 승인 2020.09.01 15:06 댓글 0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상처로 얼룩진 ‘8월의 오심’...한국 프로야구 장래를 생각해서라도 심판진 문제에 대한 근본 대책 시급 [권의종의 경제프리즘] 프로야구 오심이 잦다. 코로나 와중에서 그나마 위안거리가 비난거리로 변했다. 언론보도가 비등하고 팬들의 실망감이 크다. 그럴 만도 하다. 연 이틀 같은 팀끼리 경기에서 같은 심판의 오심이 반복되었으니 말이다. 아무래도 이번에는 그냥 넘기기 힘들 것 같다. 한국 프로야구 장래를 생각해서라도 심판진 문제에 대한 근본 대책이 시급해 보인다. 8월 22일 KIA-키움전. KIA는 선발 양현종의 6..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한국저작권보호원 ・ 2017. 11. 15. 17:46 URL 복사 이웃추가 현재 인공지능 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중심 기술이자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 중 하나이다. 현재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는 지속해서 발전됨에 따라 인간의 영역으로만 여겨지는 예술 창작이 인공지능을 이용한 프로그램에서도 가능하게 되었다. 2016년에는 여러 네덜란드의 연구진들과 박물관 관계자들이 공동 개발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가 렘브란트 화풍의 초상화를 그려냈으며 이웃 나라 일본에서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집필한 단편 소설이 국가 문학상의 심사 1라운드를 통과하기도 한 재미있는 사례가 소개되었다.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가 창작물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됨에 따라 미국·유럽 등에서는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이..

"고등학교서 '머신러닝' 가르칠 정도로 선생님도, 학생도 성장"

"고등학교서 '머신러닝' 가르칠 정도로 선생님도, 학생도 성장" 김정현 기자 입력 2020.12.16. 07:01 댓글 124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AI·SW 강국 '교육디딤돌'부터③]대구한실초 전용욱 교사·북삼고 임진숙 교사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언플러그드 활동으로 이해·효과 높여야 [편집자주]AI와 SW 분야는 '국가 주권'에 영향을 줄 정도로 중대한 분야다. 특히 글로벌 경제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4차산업혁명으로 빠르게 변모하는 시점에서 자칫 AI와 SW 분야 경쟁력을 키울 시기를 놓쳤다가는 국가 경쟁력 자체가 크게 퇴보할 수 있다는 것이 기업인,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하지만 한국의 AI 수준은 정부 자체조사 결과 주요 국가중 '하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