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졸려도 누워 있어라?'..수면에 관한 대표적인 오해들
박선우 디지털팀 기자 입력 2021. 06. 25. 07:32 댓글 13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취침 전 음주, 렘수면 단계 방해해 수면의 질 떨어뜨려..소량이라도 마찬가지
(시사저널=박선우 디지털팀 기자)

ⓒ픽사베이
단순한 피로 뿐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수면. 질 높은 수면을 취하려 노력하는 사람은 많지만, 수면에 대한 그릇된 통념이 널리 퍼져 있어 어떤 조언이 맞는지 알기 쉽지 않다. 수면에 관한 흔한 오해와 제대로 된 수면법을 알아보자.
▲ 가벼운 음주는 숙면을 돕는다?
많은 사람들이 수월하게 잠들기 위해 소량의 술을 마신 채 잠자리에 들곤 한다. 그러나 와인 한 잔 정도의 소량이라 할지라도 술을 마신 채 잠들면 수면의 질이 형편없이 나빠진다. 특히 술은 수면의 여러 단계 중 눈동자가 빠르게 움직이는 렘수면(Rapid Eye Movement Sleep)을 방해한다. 우리 뇌는 렘수면 단계에서 기억력과 학습 능력 등을 회복하므로, 술을 마시고 자면 깬 뒤에도 머리가 개운하지 않기 십상이다.
▲ 안 졸려도 누워있는 게 좋다?
'잠이 안온다'고 주변에 토로하면 졸리지 않아도 눈을 감고 누워있으라는 조언을 듣곤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는 '절반의 진실'에 가깝다. 숙면을 위해 잠자리에서는 스마트폰이나 TV 등을 보지 않는 게 좋다는 점에선 옳은 조언일 수 있으나, 잠에 들 때까지 수십 분, 몇 시간씩 누워있는 건 불면증을 되려 악화시킬 수 있어 피해야 한다. 침대에 누워있어도 잠들지 못하는 날이 늘어나면 우리 뇌가 '불면'과 '침대'를 연결해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리 뇌로 하여금 '침대는 자는 곳'이라 인식하게 만드는 것이 불면증 치료의 기본 중 하나다.
누운지 15분 가량이 지나도 잠이 오지 않는다면 차라리 침대에서 벗어나 독서 등 다른 일을 하다가 다시 잠을 청해보는 편이 낫다. 단 이때도 휴대폰이나 TV를 보는 등 눈에 자극을 줄 수 있는 행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 10분이라도 더 자는 편이 낫다?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한번 울린 알람을 5~10분 정도 뒤로 미루는 '다시 알림(스누즈)' 기능이 포함돼 있다. 많은 사람들이 잠결에 스누즈 버튼을 누르고 몇 분간이나마 수면 시간을 연장한다. 1분이라도 더 자고 싶은 절박함은 누구에게나 있지만, 몇 분간 선잠을 더 자봐야 피로 회복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알람이 울리면 침대에서 일어나 커튼을 걷고 빛을 쬐 잠을 깨는 편이 좋다.
Copyright ⓒ 시사저널(http://www.sisajournal.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의학+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톱의 바뀐 증상들_손톱 밑에 보라색의 점이나 얼룩, 손톱 아래에 검은색 세로줄, 세로줄이 있는 것처럼 울퉁불퉁, 손톱이 갈라지고 잘 부서진다 (0) | 2021.09.08 |
---|---|
복지부_전문간호사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0) | 2021.09.08 |
베트남[낙태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 하노이시 한 아파트의 냉동고에서 낙태된 태아 시신 1천여구 (0) | 2021.05.30 |
찬물 vs 따뜻한 물 샤워, 어떤 사람에게 좋을까 (0) | 2021.05.18 |
'하품을 너무 많이 해요'...이유는? (연구) (0) | 2021.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