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규 “딸이 미국서 집 산 것… 盧전대통령 부인한 날 美당국서 증거 보내와”
문재인 책내용 반박
동아일보 | 입력 2011.06.16 03:36 | 수정 2011.06.16 08:51
[동아일보]
2009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으로서 '박연차 게이트' 수사를 총지휘했던 이인규 변호사(53·사진)가 15일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최근 출간한 '문재인의 운명' 책의 내용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 전 중수부장은 문 이사장이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의 진술 말고는 아무 증거가 없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턱도 없는 소리다. 증거 없이 어떻게 전직 대통령을 소환조사할 수 있었겠느냐"라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15시간여에 걸친 조사가 전부 영상으로 녹화돼 있는데 마음 같아서는 다큐멘터리를 틀 듯 다 틀었으면 좋겠다"며 "무수한 증거가 수사기록에 많이 남아 있으니 (문 이사장 측이) 그렇게 자신 있으면 수사기록을 공개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중수부장은 2009년 4월 30일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소환조사 직후 검찰이 형사처벌 수위를 곧바로 결정하지 않은 배경에 대해서도 한마디했다. "노 전 대통령이 검찰조사에서 미국에서 집을 산 적이 없다고 부인했지만 바로 그날 오후 5시경 노 전 대통령의 딸 정연 씨가 미국 뉴저지에서 160만 달러짜리 주택을 구입했다는 미국 당국의 조회 결과가 한국 검찰에 도착했다. 이를 추가 확인하느라 시간이 걸렸을 뿐이다." 이 같은 수사 비화는 처음 공개된 것이다.
▼ "박연차 진술 말고도 증거 무수히 많아"
▼
"검찰조사 녹화기록 다큐 틀 듯 다 틀었으면…"
이 전 중수부장은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책임을 지고 그해 7월 사표를 쓰고 검찰을 떠났다. 다음은 이 전 중수부장과의 일문일답.
―문 이사장이 책에서 '노 전 대통령이 검찰에 출두했을 때 이 전 중수부장이 대단히 건방졌다. 태도엔 오만함과 거만함이 가득 묻어 있었다'고 비난했는데….
"나는 검사로서의 직분, 검사로서의 할일을 다했다. 노 전 대통령에 대해 예우를 다했다. 공손하게 잘 모셨다. 노 전 대통령이 기가 세신 분이고 전직 대통령이신데 그런 분 앞에서 거만하게 행동했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다. 그 자리에 단 둘이 있었다면 오해를 살 수도 있겠지만 그때 나와 노 전 대통령을 포함해 모두 5명이 있었다. 문재인 씨, 전해철 전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 홍만표 당시 수사기획관(현 대검 기획조정부장)도 모두 같이 있었는데 그런 자리에서 내가 어떻게 전직 대통령을 앞에 두고 건방지게 할 수가 있겠나."
―문재인 씨가 검찰의 증거 부족을 언급하면서 심지어 노 전 대통령의 통화기록조차 없었다고 말했는데….
"통화기록 공식 보존 기한이 1년인데 당시에 이미 보존기한이 지나서 검찰이 통화기록을 획득할 수 없었던 거다. 시일이 지나서 확보할 수 없었을 뿐이었다. 그런데 통화기록 말고도 무수한 증거가 수사기록에 많이 남아 있다. 자기들이 그렇게 자신 있으면 수사기록을 공개하면 될 것이다. 당시에는 이미 (노 전 대통령 측에) 돈이 건네진 것은 인정한 것 아니냐. 노 전 대통령이 (돈을 받도록) 시켰는지, 안 시켰는지가 문제였을 뿐이었다."
―문 이사장이 박연차 전 회장과 대질을 하려는 발상 자체가 예의 없는 것이고 대단히 무례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는데….
"대한민국 국민은 법 앞에 모두 평등하다. 양쪽 말이 틀린데 그러면 수사팀 입장에서는 어느 말이 맞는지 당연히 확인을 해야 한다. 박연차 전 회장의 말이 신빙성이 있는데 대질하지 말라는 게 말이 되느냐. 대통령은 하늘이고 장사꾼 말은 못 믿고 그런 게 아니지 않느냐."
―소환조사 후에 신병처리 등을 곧바로 결정하지 않은 이유는….
"소환조사 후에 바로 처벌 수위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다. 대검 중수부가 1995년 노태우 전 대통령을 조사했을 때도 노 전 대통령을 처음 조사한 뒤에 2주가 지나서 다시 소환조사하고 영장을 청구해 구속했다. 일반 피의자도 다 그렇게 한다. 대통령이라고 일반인과 달라야 하나. 그렇지 않다. 답답할 따름이다."
―문 이사장 측에 더 할 말은….
"모욕감을 느끼지만 내가 더 이상 말하면 돌아가신 분이 욕되니까 이 말만 하고 그만하겠다. 진실은 숨길 수 없고 진실은 밝혀질 것이다."
이태훈 기자 jefflee@donga.com
2009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으로서 '박연차 게이트' 수사를 총지휘했던 이인규 변호사(53·사진)가 15일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최근 출간한 '문재인의 운명' 책의 내용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 전 중수부장은 2009년 4월 30일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소환조사 직후 검찰이 형사처벌 수위를 곧바로 결정하지 않은 배경에 대해서도 한마디했다. "노 전 대통령이 검찰조사에서 미국에서 집을 산 적이 없다고 부인했지만 바로 그날 오후 5시경 노 전 대통령의 딸 정연 씨가 미국 뉴저지에서 160만 달러짜리 주택을 구입했다는 미국 당국의 조회 결과가 한국 검찰에 도착했다. 이를 추가 확인하느라 시간이 걸렸을 뿐이다." 이 같은 수사 비화는 처음 공개된 것이다.
▼ "박연차 진술 말고도 증거 무수히 많아"
▼
"검찰조사 녹화기록 다큐 틀 듯 다 틀었으면…"
이 전 중수부장은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책임을 지고 그해 7월 사표를 쓰고 검찰을 떠났다. 다음은 이 전 중수부장과의 일문일답.
―문 이사장이 책에서 '노 전 대통령이 검찰에 출두했을 때 이 전 중수부장이 대단히 건방졌다. 태도엔 오만함과 거만함이 가득 묻어 있었다'고 비난했는데….
"나는 검사로서의 직분, 검사로서의 할일을 다했다. 노 전 대통령에 대해 예우를 다했다. 공손하게 잘 모셨다. 노 전 대통령이 기가 세신 분이고 전직 대통령이신데 그런 분 앞에서 거만하게 행동했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다. 그 자리에 단 둘이 있었다면 오해를 살 수도 있겠지만 그때 나와 노 전 대통령을 포함해 모두 5명이 있었다. 문재인 씨, 전해철 전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 홍만표 당시 수사기획관(현 대검 기획조정부장)도 모두 같이 있었는데 그런 자리에서 내가 어떻게 전직 대통령을 앞에 두고 건방지게 할 수가 있겠나."
―문재인 씨가 검찰의 증거 부족을 언급하면서 심지어 노 전 대통령의 통화기록조차 없었다고 말했는데….
"통화기록 공식 보존 기한이 1년인데 당시에 이미 보존기한이 지나서 검찰이 통화기록을 획득할 수 없었던 거다. 시일이 지나서 확보할 수 없었을 뿐이었다. 그런데 통화기록 말고도 무수한 증거가 수사기록에 많이 남아 있다. 자기들이 그렇게 자신 있으면 수사기록을 공개하면 될 것이다. 당시에는 이미 (노 전 대통령 측에) 돈이 건네진 것은 인정한 것 아니냐. 노 전 대통령이 (돈을 받도록) 시켰는지, 안 시켰는지가 문제였을 뿐이었다."
―문 이사장이 박연차 전 회장과 대질을 하려는 발상 자체가 예의 없는 것이고 대단히 무례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는데….
"대한민국 국민은 법 앞에 모두 평등하다. 양쪽 말이 틀린데 그러면 수사팀 입장에서는 어느 말이 맞는지 당연히 확인을 해야 한다. 박연차 전 회장의 말이 신빙성이 있는데 대질하지 말라는 게 말이 되느냐. 대통령은 하늘이고 장사꾼 말은 못 믿고 그런 게 아니지 않느냐."
―소환조사 후에 신병처리 등을 곧바로 결정하지 않은 이유는….
"소환조사 후에 바로 처벌 수위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다. 대검 중수부가 1995년 노태우 전 대통령을 조사했을 때도 노 전 대통령을 처음 조사한 뒤에 2주가 지나서 다시 소환조사하고 영장을 청구해 구속했다. 일반 피의자도 다 그렇게 한다. 대통령이라고 일반인과 달라야 하나. 그렇지 않다. 답답할 따름이다."
―문 이사장 측에 더 할 말은….
"모욕감을 느끼지만 내가 더 이상 말하면 돌아가신 분이 욕되니까 이 말만 하고 그만하겠다. 진실은 숨길 수 없고 진실은 밝혀질 것이다."
이태훈 기자 jefflee@donga.com
'* 정치(다스리기) > 4대강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쌍한 MB...이 12장 사진 없애버리고 싶죠 (0) | 2012.11.23 |
---|---|
낙동강 보 '붕괴' 현장 (0) | 2012.11.23 |
보고 따로 해석 따로, 고무줄 '4대강 보고서'_한겨레 (0) | 2012.10.25 |
"역행침식 지천 상류로…마을둑·제방도로 붕괴 우려" 금강살리기 구간 피해 가능성 높아 (0) | 2011.06.16 |
[장마철시작 4대강긴장] ③ 낙동강 교량 안전한가? (0) | 2011.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