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누림,누리리)/ 촛불문화

안중근 기념행사 불허한 중국

사이박사 2009. 10. 21. 18:18

中 안중근 '뜨거운 감자'..기념식 무산

연합뉴스 | 입력 2009.10.21 17:12 | 수정 2009.10.21 17:18

 
(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 = 중국에서 하얼빈 의거 100주년을 맞아 추진됐던 안중근 기념행사들이 중국 당국의 불허로 잇따라 무산됐다.

중국 내 안중근 의사 연구가들에 따르면 이달 25일 갖기로 했던 뤼순(旅順)감옥 내 안 의사 추모관과 '국제 항일열사 기념관' 개관식이 중국 당국의 허가를 받지 못해 열리지 못하게 됐다.

광복회를 비롯한 한국과 중국의 안중근 기념사업 단체들은 하얼빈 의거 100주년을 맞아 25일 뤼순 기념관 개관식을 갖기 위해 지난 7월부터 행사를 준비해왔다.

광복회 등이 예산을 지원, 건립해 최근 관람객들에게 공개된 이 기념관은 국제 항일열사 기념관이라고 명명했지만 안 의사를 중심으로 단재 신채호 선생 등 우리 독립운동가 11명에 관한 유물과 사료들을 전시, 소개하고 있어 안중근 기념관으로 불리고 있다.

하얼빈에서 조선족들이 주축이 돼 의거일인 26일 개최키로 했던 의거 100주년 기념식 역시 논란 끝에 열리지 못하게 됐다. 중국 당국이 '기념식' 명칭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중국 당국은 안 의사 거사 100주년 기념행사를 '민간' 차원의 학술토론회로 제한했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열리는 안 의사 의거 100주년 관련 행사는 25일 다롄대, 26일 하얼빈 조선민족예술관에서 열리는 국제 학술토론회가 전부다.

기념식에 참석할 예정이었던 신정승 주중 한국대사와 신형근 주선양 한국총영사 등 정부 관계자들의 참석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주최 측이 민간 차원의 학술행사임을 들어 참석에 난색을 보였기 때문이다.

뤼순 감옥 기념관 개관식과 하얼빈 의거 100주년 기념식에 참석할 계획이었던 광복회 관계자 등 한국 방문단도 별도의 행사 없이 뤼순 기념관과 하얼빈 역 등을 둘러보는 것으로 일정이 조정됐다.

저우언라이(周恩來) 전 총리를 비롯해 중국인들 역시 애국열사로 높이 평가하고 추앙해왔던 안 의사의 의거 100주년 행사에 중국이 이처럼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은 의외의 일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우선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의식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일본 민주당이 집권, 새로운 중일 관계가 모색되는 마당에 중국 내에서 안 의사를 추모하는 행사가 대대적으로 열릴 경우 일본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을 계산에 넣었을 것이라는 얘기다.

관료들의 몰이해를 원인으로 꼽는 시각도 있다. 안 의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전후 세대가 요직에 오르면서 안 의사의 위상도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는 것.

한국 내 민족주의가 형성되는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다. 일본의 보수 우익단체들이 야스쿠니 신사를 중심으로 결집하듯 한국에서 안 의사로 인해 극단적 민족주의자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것을 중국이 꺼리고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의 한 안중근 연구가는 "백두산과 간도가 한국 땅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데 자극받아 중국이 동북공정에 나섰다"며 "안 의사로 인해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의 목소리가 커지게 되면 어떤 주장이 나올지 모른다고 우려하는 중국은 안 의사가 한국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부각되는 것을 원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념식은 불허 하되 학술토론회를 허용한 데서 중국 당국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며 "중국에서 안 의사가 제대로 인정받게 하려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민족 영웅'이라는 식의 감성적 접근보다는 그런 행동에 나설 수 있었던 안 의사의 동양평화사상에 대해 차분하고 진지하게 연구하고 교류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pjk@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haohao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