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모여살이)

[스크랩] <[급증하는 노숙자] “환란때 아버지처럼 거리생활”>

사이박사 2008. 6. 27. 16:26
출처 : 사회일반
글쓴이 : 서울신문 원글보기
메모 :

[급증하는 노숙자] “환란때 아버지처럼 거리생활”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8.06.27 02:18

50대 남성, 경기지역 인기기사 자세히보기

 

 


[서울신문]"노숙마저 세습되는 서글픈 현상이 우리 주위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25일 밤 노숙자 상담을 위해 서울역·용산역을 찾은 노숙인 다시 서기 지원센터 이형운(43) 팀장은 "젊은 노숙자들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20∼30대 젊은이들이 노숙자였던 아버지의 길을 걷고 있거나 삶의 목표를 잃고 거리로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아버지가 인생 망쳤다" 원망

용산역에서 아버지와 아들이 함께 노숙 생활을 하는 '부자 노숙자'를 만났다. 역사 뒤편 계단에 멍하니 앉아 있는 아들 서모(26)씨는 아버지(54)씨를 원망했다. 그는 "아버지는 맨 정신에서도 어린 나를 때렸다. 아버지가 나를 망쳤다."고 힘없이 말했다. 노숙 생활을 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나도 모르게 나왔다."고 했다."이젠 아버지를 만나도 아무렇지도 않다."며 갑자기 소리치면서 몸을 떨었다. 용산전자상가 골목에서 만난 아버지 서씨는 치아가 다 빠져 있었고, 축 늘어져 묻는 말에 대답조차 못했다. 이 팀장은 "아버지 서씨의 치아는 전기감전 때문에 빠졌고, 지난 4월 쇠파이프에 머리를 맞아 꿰매기도 했다."고 전했다. 아버지는 1999년부터 노숙을 시작했고 아들은 지난해 말에 거리로 나섰다.

서울역 광장에서 술에 취해 몸을 가누지 못하는 노숙자 50여명을 만났다. 이 팀장은 "술을 먹으면 간이 안 좋아져 사망에 이르고, 마시지 않으면 정신적인 고통을 못 이겨 정신질환이 온다."면서 "그래도 술을 끊고 재활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재활도 근로경험이나 근로의욕이 있어야 가능하지만 젊은 노숙자들은 취업조차 못하고 거리로 내몰린 경우가 많다. 서울역에서 만난 김모(28)씨에게서는 꿈을 찾아볼 수 없었다. 강원도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와 편의점·대형마트 등에서 아르바이트를 했지만 제대로 된 일자리를 갖지 못했다. 그는 "그냥 거리로 나왔다. 집에 들어가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IMF형 노숙자들은 공공근로를 통한 재활이 가능했지만 젊은 노숙자들은 어떤 제안도 거절한다."면서 "삶의 가치를 찾도록 상담하는 게 고작"이라고 말했다. 서울역에 있는 노숙인 다시 서기 지원센터에서 만난 김모(45)씨는 젊은 노숙자들을 걱정했다. 그는 "1997년부터 서울역에서 지냈는데 요즘처럼 갑자기 젊은이들이 늘어나는 것은 처음 본다."면서 "지난해까지만 해도 내가 10명 정도를 거느렸는데 요즘은 30여명이나 된다."고 말했다.

가정 불화로 노숙자가 된 사람도 있었다. 서울역 광장에서 만난 최모(48)씨는 "술 때문에 10년이나 함께 살던 아내와 헤어지고 나서 거리로 나왔다."면서 "거리 생활을 하다가 절도로 벌금형을 선고 받았지만 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 남동공단에서 일하다 올해 거리로 나선 한 노숙자는 "이게 다 외국인들이 우리 일자리를 빼앗아서 생긴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복지부 노숙자 담당직원 단 한명
이 팀장은 "거리에 있는 사람들만이 노숙자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언제라도 일용직 일자리가 끊기면 거리로 나올 '잠재적 노숙자'가 수없이 많다는 얘기다. 이들은 고물가로 생활비가 천정부지로 치솟자 최근 하루 7000원 쪽방값을 대지 못하고 거리로 내몰리고 있다. 간헐적으로 눈에 띄는 노숙자까지 합치면 서울역 부근에만 1만 5000명의 노숙자가 있다는 추정도 나온다.

하지만 정부는 '잠재적 노숙자'를 포함한 노숙자 전체 규모를 파악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노숙자수 측정방법도 거리에 나온 이들을 세는 '아웃 리치'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건복지가족부에 노숙자·부랑자 담당 직원은 단 1명이다.

이경주 장형우기자 kdlrudw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