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_박사논문 표절

[연합뉴스 2022.08.08] “국민대가 도둑질 방치”…김건희 논문 ‘표절 면죄부’ 후폭풍

사이박사 2022. 8. 9. 09:52

“국민대가 도둑질 방치”…김건희 논문 ‘표절 면죄부’ 후폭풍

입력 : 2022.08.08 17:00 수정 : 2022.08.08 19:33
[연합뉴스 박하얀 기자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4일 서울 성북구 국민대학교 총장실 건물 앞에서 김건희 여사 논문 조사 결과에 대한 규탄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대가 김건희 여사의 박사학위 논문 등에 대해 표절이 아니라고 판단한 것을 두고 학교 안팎에서 반발이 커지고 있다. 국민대 교수들은 성명 발표에 이어 긴급 임시총회를 열기로 했고, 졸업생들은 규탄 선전전에 나섰다. 국민대 총장은 야당 의원들의 항의 방문을 받느라 진땀을 흘리면서도 “연구윤리위원회 판단이 존중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홍성걸 국민대 교수회장은 오는 12일 오전 10시 긴급 교수회 임시총회를 연다고 8일 밝혔다. 홍 교수는 “교수회는 총회에서 공식적으로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그 의결에 따라 행동을 취할 계획”이라고 했다.

국민대 교수들은 전날 성명에서 학교 조사 결과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검증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국민대학교의 학문적 양심을 생각하는 교수들’은 전날부터 구글 설문을 통해 교수들의 의견을 모으고 있다. 현재까지 국민대 교수 412명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 절차를 진행 중이다.

국민대 동문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서울 성북구 국민대 정문과 본관 앞에서 현수막을 들고 김 여사 박사학위 논문 조사 결과를 규탄하는 선전전을 했다. 김 여사의 숙명여대 석사 논문에 대한 조속한 검증을 촉구하는 숙대 민주동문회 졸업생을 포함해 총 10여명이 참여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들은 이날 임홍재 국민대 총장을 항의 방문했다. 의원들은 임 총장에게 연구윤리위원회 조사위원 명단, 연구윤리위 예비조사위원회 회의록, 조사위원회의 조사결과 보고서 등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자세히 보기

 

민주당은 “국민대가 김건희 여사 논문에서 드러난 문제들이 사실임을 확인했음에도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론낸 것은 총장이 학교 문을 스스로 닫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여사의 국민대 논문 표절 피해 당사자라고 밝힌 구연상 숙명여대 기초교양학부 교수는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국민대가 도둑질을 방치했다”고 주장했다.

구 교수는 김 여사가 2007년 국민대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에서 쓴 박사학위 논문 <아바타를 이용한 운세 콘텐츠 개발연구: ‘애니타’ 개발과 시장 적용을 중심으로>가 자신의 2002년 발표 논문 <디지털 컨텐츠와 사이버 문화>와 상당 부분 흡사하다고 주장한다.

구 교수는 “이 논문은 각주나 참고문헌 없이 몰래 따왔기 때문에 100% 표절이 맞다”면서 “김건희 박사의 논문을 다른 사람이 인용할 때는 (김 여사의 개명 전 이름인) ‘김명신’으로 인용할 것이다. 제 이름은 삭제되고 탈취된 상태로 저의 모든 학문적인 업적이 박탈당한 셈”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임홍재 국민대 총장은 이날 내놓은 입장문에서 김 여사의 논문 재조사 결과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순수하게 연구자들의 기준으로 독립적인 기구에서 판단한 내용이 존중받기를 바란다”며 “더는 논문 검증 절차와 판단이 정쟁 수단으로 이용되지 않기를 간절히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여사 논문 재조사위원회 명단과 회의록은 공개할 수 없다고 했다. 임 총장은 “조사위원 개인의 학문의 자유, 양심의 자유, 표현의 자유와 대학의 자율성이라는 자유민주국가의 기본적 가치가 심각하게 훼손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해 연구윤리위원회에서 비공개로 결정된 사안”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