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다스리기)/ 국제

바이든 대통령의 ‘아메리카 첫째’(America First)이 ‘아메리카 홀로’(America alone)이 되지 않을까? 유럽의 우려!

사이박사 2021. 8. 19. 10:21

"미국, 더 이상 세계 경찰 아니다"..유럽서 터져 나온 비판

전웅빈 입력 2021. 08. 19. 07:27 댓글 163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군 과정에 실망한 유럽 사회 분노가 폭발하고 있다. 미국 중심의 외교전략 수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까지 터져 나왔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유럽 순방 성과가 불과 2개월여 만에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한 셈이다.

국익 우선론을 강조한 바이든 대통령의 최근 연설이 동맹국들의 감정을 더욱 악화시켰다는 지적도 나온다. 카불에서의 구조 작업 난항, 아프간에서의 여성과 아동 인권 침해 등 파장도 지속하고 있어 바이든 대통령의 입지가 곤란해졌다.

흔들리는 대서양 동맹

뉴욕타임스(NYT)는 18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의 아프간 정책이 영국을 흔들고 있다”며 “어떤 사람들은 그가 새로운 파트너십을 약속한 동맹이 아니라 전임자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처럼 행동한다고 한다”고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6월 유럽 순방에 나서며 ‘동맹 회복, 대서양 연안 국가와의 관계 재활성화, 동맹 및 다자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력’ 등을 강조했는데, 이번 아프간 사태에서는 이런 약속이 전혀 지켜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 영국 외교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톰 투겐다트 의원은 “(아프간 사태에서) 영국의 교훈은 ‘상호의존’ 관계가 ‘지나친 의존’(overreliance) 관계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며 “우리는 선택권이 있을 때 상대방에게 더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아프간 철군 과정에서의 보인 미국의 독단적 행동을 지적한 것이다.

투겐다트 의원은 “‘미국 우선’(America First)이 ‘미국 고립’(America alone)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며 “영국은 미래의 안보 작전에서 미국과의 관계 조건을 재고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독일 집권당에서도 바이든 대통령 규탄 목소리가 공식 제기됐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이끄는 기독교민주연합(기민련) 소속 요한 와데풀 부대표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아프간을 그렇게 빨리 떠나는 게 좋은 생각인지 아무도 묻지 않았다.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매우 짜증 나는 상황은 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이 더 이상 세계의 경찰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하고, 유럽의 안보를 보장해야 한다”며 “우리가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프랑스에서도 비슷한 분위기가 읽힌다. 워싱턴포스트(WP)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아프간 사태 여파를 관리하기 위해 누구와 협력할 것인지 연설하면서 워싱턴이 아닌 유럽 국가를 주로 이야기했다”고 지적했다. 미국에 대한 실망감을 우회적으로 드러냈다는 것이다.

제레미 샤피로 유럽외교관계위원회 연구소장은 “미국은 적어도 외교 정책에 관해서는 이해관계가 상당히 다르고, 정치 시스템을 신뢰할 수 없다”며 “대규모 비극이나 도발이 있을 때야 그 일을 공개한다”고 꼬집었다.

NYT는 “바이든 대통령의 반성 없는 월요일 연설은 많은 사람을 당황하게 했고, 동맹국으로서의 미국 신뢰도에 의구심을 불러일으켰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유럽 관료들은 미국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며 “아프간 실패가 대서양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악화하는 카불 상황


미국 내부에서도 동맹 전략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측근인 뉴트 깅그리치 전 하원의장은 폭스뉴스 기고문에 “미국 정부가 20년 동맹으로부터 등을 돌리면서 발생한 리더십의 대형 실패를 전 세계가 목도했다”며 “왜 대만, 유럽, 한국, 혹은 다른 동맹이 바이든 대통령을 믿고 의지하겠느냐”고 지적했다.

카불에서는 미국의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는 장면이 연일 목격되고 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좌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탈레반이 민간인의 안전한 공항 이동을 약속했다”고 말했지만, 현지에서는 탈레반이 민간인의 이동을 제한하는 일이 발생했다.

검문소를 설치해 통행을 막고, 총을 쏴 피난민들을 위협하는 등 폭력을 행사했다는 보고도 이어지고 있다. 급기야 아프간 주재 미국 대사관은 체류 미국인에게 “카불 공항까지 안전한 통행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경보도 울렸다.

전날 휴가를 마무리 한 바이든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외교안보팀 회의를 소집했다. 백악관은 카불 공항 구조 방안, 이슬람국가(IS) 등 테러 단체 위협 재평가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메르켈 총리와 전화 통화도 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